신규 상장 오름테라퓨틱 향후 주가 동향 예측
본문 바로가기
주식

신규 상장 오름테라퓨틱 향후 주가 동향 예측

by so-eunsarang 님의 블로그 2025. 2. 23.
반응형


오름테라퓨틱은 2016년 LG생명과학 출신의 이승주 대표가 설립한 신약 연구개발 전문 바이오 기업으로,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을 활용한 항체-약물 접합체(DAC)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암 치료제를 개발하며, 대전과 미국 보스턴에 연구소를 두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오름테라퓨틱은 글로벌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 신약 후보물질 'ORM-6151'의 전체 권리를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선급금으로 1억 달러(약 1312억 원)를 수령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 7월에는 미국 버텍스 파마슈티컬과 플랫폼 사용 옵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여 선급금 1500만 달러(약 208억 원)를 받았으며, 최대 3개 타깃에 대해 각각 최대 3억 1000만 달러(약 4294억 원)의 기술료를 받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오름테라퓨틱은 2024년 11월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였으나, 주식시장 급락과 투자 심리 악화 등의 이유로 상장 계획을 철회하였습니다. 이후 공모가를 기존 3만3만 원으로 낮추고, 공모 주식 수를 300만 주에서 250만 주로 줄이는 등 조건을 조정하여 2025년 2월 코스닥 상장을 재추진하였습니다.

2025년 2월 14일, 오름테라퓨틱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상장 첫날 공모가(2만 원) 대비 9% 상승한 2만 18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장중 한때 2만 9950원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이후 상승폭을 일부 반납하였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은 상장 후 2026년까지 매출 930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추가적인 기술수출과 파이프라인의 적응증 확대 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으로는 HER2 표적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ORM-5029', 소세포암 및 신경내분비종양 후보물질 'ORM-1023' 등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임상 및 기술이전을 통해 매출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오름테라퓨틱의 향후 주가 전망은 이러한 기술력과 사업 계획의 성공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추가적인 기술수출 성과와 임상 시험의 진행 상황, 그리고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 등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만, 바이오 산업 특성상 임상 시험 결과나 규제 이슈 등 예기치 않은 변수들이 존재하므로, 투자 시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오름테라퓨틱은 상장 후 연구개발(R&D)에 600억 원, 운영비로 3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과 추가적인 기술이전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특히, 현재 임상 1상 중인 'ORM-5029'는 임상 완료 후 기술수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전임상 단계의 'ORM-1153'과 'ORM-1023'은 임상 1상 전에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은 글로벌 제약 시장의 동향과 경쟁 상황입니다. 최근 바이오 업계에서는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과 항체-약물 접합체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주가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이 이러한 시장 흐름에 맞춰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간다면,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바이오 산업은 높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오름테라퓨틱의 기술 개발 진행 상황, 임상 시험 결과, 파트너십 체결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중한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오름테라퓨틱의 조정 국면을 예측하기 위해 현재 차트 패턴과 수급 동향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최근 주가 흐름

상장 첫날(2/14): 공모가(20,000원) 대비 9% 상승 마감(21,800원).

2/18: 장중 급등하여 36,750원(+29.85%) 기록.

2/19~2/20: 고점에서 매도세 출현, 36,400원 → 36,750원으로 마감.

2/21 이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2. 조정 가능성 및 지지선 분석

(1) 단기 지지선과 저항선

1차 지지선: 32,000원~34,000원 (최근 상승 구간의 중심값)

2차 지지선: 30,000원 (상장 초기 매수세가 강했던 구간)

단기 저항선: 40,000원 (고점)


(2) 기술적 분석 기반 조정 시나리오

① 강한 지지선 유지 후 반등 → 32,000원~34,000원 부근에서 지지받고 재차 상승 가능.
② 추가 조정 후 횡보 → 30,000원 근처까지 하락 후 일정 기간 박스권 형성.
③ 과열 해소 후 상승 재개 → 40,000원 저항선을 돌파하면 추가 상승 가능성 있음.

3. 결론 및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 조정 가능성이 크지만, 기술적 지지선(32,000원~34,000원)에서 반등 가능성도 있음.

40,000원 돌파 여부가 중장기 상승 여부를 결정할 핵심 포인트.

조정 시 거래량 감소 여부(조정이 완화되는 신호)를 주목하며 신중한 대응 필요.


좀 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시면 특정 기간의 캔들 패턴, 이동평균선, 거래량 등을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4. 추가 기술적 분석

(1) 이동평균선 분석

단기(5일선): 현재 가격과 유사한 수준에서 움직이며 방향성 탐색 중.

중기(20일선): 상승 기울기가 유지되며 지지선 역할 가능.

장기(60일선): 데이터 부족으로 분석 어려움.


→ 단기적으로 5일선이 20일선을 이탈하면 추가 조정 가능성이 커질 수 있음.

(2) 거래량 분석

상장 직후 급등 시 거래량 폭발 후 점진적 감소 중.

조정 과정에서 거래량이 급격히 줄면 지지선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음.

반대로,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면 추가 하락 가능성 경계 필요.


→ 현재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다면 바닥 다지기 가능성이 높음.

(3) 보조지표 분석

RSI(상대강도지수): 과매수 구간(70 이상)에서 내려오며 조정 중. 50 근처에서 반등 여부 확인 필요.

MACD(이동평균 수렴·확산): 현재 강한 상승 후 조정 구간으로 진입 가능성이 있음. 신호선 하향 돌파 시 단기 조정 예상.


→ RSI가 50 이하로 내려가면 단기 조정 가능성이 커지므로 확인 필요.


---

5. 조정 이후 반등 가능성 및 시점

1. 강한 지지선 확인:

32,000원~34,000원 구간에서 반등하면 추가 상승 가능.

거래량 동반 반등 여부 중요.



2. 추가 조정 시 대응:

30,000원까지 하락하면 추가 매수 기회로 볼 수도 있음.

30,000원 이탈 시 심리적 지지선 약화, 추가 하락 가능성 있음.



3. 반등 시 목표가:

38,000원~40,000원 돌파 시 상승 재개 가능.

40,000원 이상 안착 시 45,000원~50,000원 목표 가능.





---

6. 결론 및 전략

✅ 단기: 조정 국면에 있으나 32,000~34,000원에서 반등 가능성 있음.
✅ 중기: 40,000원 돌파 여부가 중요하며, 추가 상승 여력 존재.
✅ 리스크 관리: 30,000원 이탈 시 손절 혹은 장기적 접근 필요.

현재 흐름을 보면 단기 조정 후 반등 가능성이 있으나, 지지선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권장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